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붓다의 명상법
저자 이자연 역자/편자
발행일 2020.4.30
ISBN 9791159055041
쪽수 206
판형 신국판 반양장
가격 11,000원
서점 바로가기

붓다가 깨달음에 이르기까지 닦은 명상법을 탐구한다. 붓다의 명상법인 마음챙김 명상은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측면을 지니며 수행법은 공통적으로 마음챙김과 알아차림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사마타 수행을 통해 삼매를 기르고 삼매의 힘의 지원을 받아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 통찰지의 터득에 이르는 길이다. 명상수행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학술적인 논의는 미주로 처리하고 가능하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평이한 용어를 사용하였다.

책머리에 3

시작하며 11

마음챙김 명상 이론 31

1. 마음챙김 명상의 핵심 수행법-마음챙김, 알아차림 33

2. 바와나와 팔정도 44

3. 사마타와 위빠사나 90

4.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을 담은 경전-?대념처경?, ?안반수의경? 102

이론과 실제의 접목 119

1. “온몸을 경험하면서” 122

2. ‘안으로 밖으로’ 131

3. “탐욕과 성냄을 놓아버리면서” 134

4. 명칭붙이기 135

5. 아는 마음 138


마음챙김 명상법 매뉴얼 159

1. 수행의 핵심 161

2. 수행지침 163

3. 좌선 수행 165

4. 와선 수행 170

5. 행선 수행 171


끝내며 153

주석 174

참고문헌 203

붓다가 깨달음에 이르기까지 닦은 명상법을 탐구한다. 붓다의 명상법인 마음챙김 명상은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측면을 지니며 수행법은 공통적으로 마음챙김과 알아차림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사마타 수행을 통해 삼매를 기르고 삼매의 힘의 지원을 받아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 통찰지의 터득에 이르는 길이다.


붓다의 명상법은 위빠사나 명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붓다의 명상법에는 사마타 수행의 측면과 위빠사나 수행의 측면이 있으며 마음챙김 명상의 사마타 수행은 붓다의 등장 이전에 인도아대륙에 존재해왔던 요가적 명상의 사마타 수행과 다르다는 것이 드러났다. 붓다의 명상법과 관련하여 사마타 수행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았던 것은 세계 불교계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상좌부불교가 절대적 준거로 삼는 『청정도론』과 아비담마에 요가적 사마타 수행의 요소가 유입되었고 그러한 내용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붓다의 명상법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되어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호흡의 개념에 집중하거나 까시나라는 표상에 집중하는 수행법은 동남아시아의 대다수의 수행선사들은 따르지 않지만 일부 수행전통이 이를 수용하였고 무엇보다도 『청정도론』과 아비담마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자들이 그러한 명상법을 팔정도의 맥락에서 바른 삼매(정정)에 이르는 바른 마음챙김 명상(정념)으로 간주하였다. 표상에 집중하는 사마타 수행이 붓다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근거는 붓다의 명상법은 경험을 있는 그대로 마음챙겨 알아차리는 수행이며 감각의 제어를 위해서도 붓다는 표상이나 부분상을 취하지 말 것을 설하기 때문이다.


표상이나 개념에의 몰입을 위한 집중을 수행하는 명상법은 붓다의 등장 이전에 인도에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온 요가적 사마타 명상이 불교 전통에 유입된 것이라는 점을 해명한다. 요가적 명상과 『청정도론』이나 아비담마에 포함된 까시나 명상과 같은 사마타 수행법이 유사한 점을 미흡한 수준으로나마 밝혔고 역사적 배경을 고려할 때 유식불교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두 명상 전통이 싹튼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때 요가적 명상은 신과의 합일이 진리의 원천이라는 믿음 아래 힘과 지혜의 완전한 모델로서의 신의 개념에 집중함으로써 완전한 몰입 상태인 삼매에 도달하여 개념 너머의 초월 세계로의 전이를 추구한 것이다. 반면 붓다는 무신론적인 성향의 소유자로서 초월 세계가 아닌 경험 세계, 현실 세계의 진실상을 꿰뚫어 보고 무명을 타파하여 번뇌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길을 추구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의 구체적인 수행체계는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즉, 사념처 수행인데 몸과 마음을 몸, 느낌, 마음, 법이라는 네 가지 대상(영역)으로 나누어 마음챙김과 알아차림을 닦아 두루 정화시켜 통찰지를 계발하기 위한 명상법이다. 사념처 각각에 대한 가르침에 수관의 가르침이 나타나는데 삼매를 위한 사마타와 통찰지를 위한 위빠사나를 유기적으로 닦는 수행법이라고 이해된다. 마음챙김 명상의 목표인 통찰지는 우리가 경험하는 것들 즉, 끊임없이 연기법에 따라 일어나고 사라지는 법들의 특상인 무상, 고, 무아를 통찰하고 지혜로써 깨닫는 것이다. 지혜는 무지를 타파하기 때문에 통찰지의 터득은 무명에 의한 모든 번뇌를 소멸시켜 열반에 이르게 하는 직접적인 요인이다.

이자연


인도 바나라스힌두대학교에서 인도철학을 전공하여 「불이론 베단따 철학에서 의식의 본성」이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독일 마인쯔대학교에서 후설 현상학을 전공하여 「현상학에서 신체-영혼의 문제-후설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인도에서 유학할 당시 요가를 시작으로 위빠사나 명상을 수행하기 시작한 저자는 명상을 활용한 잠재력 개발로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할 리더 양성에 뜻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글로벌)캠퍼스 미네르바교양대학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철학문화연구소 초빙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붓다의 명상법 실습을 비롯해 명상을 활용한 비즈니스능력개발, 요가경전강독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일반인들을 대상으로도 명상 지도를 하고 있다. 공황장애, 우울증 등으로 약물치료를 받은 사람들 중 명상의 도움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호전되는 임상효과를 보이는 사례가 있다. 그 외에 정치평론학회에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제5의 물결?녹색인간』(이진우·이은주)(이은주는 저자의 개명 전 이름)이 있으며 「4차산업혁명시대의 인성교육모델」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