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아방가르드 고전소설
고전소설의 경계를 넘는 시선
저자 김현주,정인혁,서유석,조현우,김문희,이정원 역자/편자
발행일 2022.01.20
ISBN 9791159056376
쪽수 261
판형 140*210
가격 18,000원
서점 바로가기

고전소설이 낡았다고? 바라보는 시선이 낡았을 뿐!

지금까지 고전소설을 설명하는 가장 친근한 용어는 권선징악, 봉건성, 민중과 같은 것들이었다. 이는 모두 도덕과 역사, 사회학의 관점에서 고전소설을 이해한 결과이다. 틀린 것은 아니지만 낡은 것이기도 하다. ‘아방가르드’는 기존의 것들에 저항하고 새로운 형식과 경험, 세계관을 향한 예술의 최전선을 가리킨다. 그러니 ‘아방가르드한 고전소설’이란 그 자체로 모순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고전소설이 낡은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낡았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 고전소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들, 즉 행복한 결말과 뻔한 인물 형상, 착하게 살라는 교훈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이 오래된 소설이 처음부터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전위적이었으며, 그에 따라 전위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고전소설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아브젝트와 젠더, 그리고 슈퍼 히어로를 동원한다. 이 책에 실린 여섯 편의 글에서는, 제자리에 있었으나 한 번도 호명되거나 알아주지도 않았던 고전소설의 면모가 오롯이 모습을 드러낸다. 독자는 이를 통해 ‘고전소설’이 어떻게 ‘아방가르드’할 수 있는지 목격하게 될 것이다.

고전문학 전공자인 저자들은 종이책이라는 전통적인 매체에 아방가르드한 생각을 담아보자고 의기투합했다. 코로나 시대를 건너며 각자의 연구실에서 화면을 통해 만나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책에는 코로나 이후 달라진 환경만큼 세상과 고전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 담겨 있다.


아방가르드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클래식

1부는 다른 예술과의 관계 속에서 고전소설을 살펴본다. 한시가 유행하던 시절, 있을 법한 이야기를 지어낸 고전소설은 그 자체로 새로운 예술 양식이었다. 「조선의 아방가르드, 판소리와 풍속화」는 바로 그 도전성을 풍부한 사례로써 그리고 풍속화와 견주어 가며 설명한다. 「아름다움과 비천함의 사이」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개념인 ‘아브젝트(abject)’로 고전소설을 설명한다. 고전소설과 다른 예술 장르가 어떻게 이어지고 갈라지는가를 흥미롭게 서술하고 있다.

2부는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젠더 문제를 다루었다. 남성성이 공모되는 것이라 할 때, 그것은 누구에 의해 어떻게 진행되고 그로 인한 상처는 누구에게 돌아가는 것인가? 「판소리, 젠더, 그리고 남성성」은 젠더 문제로 판소리 문학을 다시 읽는다. 「여성영웅, 젠더 이탈자, 괴물」에는  남복을 입고 장군이 되어 전쟁에서 승리하고 다른 여성과 결혼하여 아들을 두는 젠더 이탈자 여성 방관주를 소개한다. 무엇이 고전을 만드는지 음미하게 하는 글들이다.

3부는 고전소설의 인물들을 다루었다. 「만귀비, 역사, 그리고 악녀의 탄생」은 ‘만귀비’라는 중국 명나라 때의 후궁이 어떻게 우리 고전소설에 정착하고 있는지를 살핀다. 악녀의 서사적 기원으로서 나라 헌종의 후궁이었던 만귀비를 소환하고 있다. 「홍길동, 슈퍼히어로, 그리고 괴물」은 ‘홍길동’이라는 매우 익숙한 인물을 ‘괴물’로서 다룬다. 홍길동과 슈퍼히어로는 비범한 능력을 공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쓴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 책에 실린 여섯 편의 글은 어느 것도 기존의 상투적인 고전소설 독법을 따르지 않는다. 1부가 고전소설에 다른 예술 장르의 이론을 적용한 것이라면 2부는 젠더와 같은 사회과학의 개념을 활용하였고, 3부는 비교문학의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두 문학권의 영향관계라는 비교문학의 전통적 주제에서 탈피하였다. 말 그대로 고전소설을 보는 새로운 시선들이다.


고전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

고전은 교훈의 원천이 아니라 발견의 원천이다. 고전소설에는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되어온 인간과 세계의 본질에 대한 예술적 통찰이 담겨 있다. 그러나 고전소설을 읽으면서 지금의 우리와 관련된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찾으려 할 때, 통찰은 비로소 빛이 난다. 이 책은 고전소설로써 이 세계를 어떻게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것이다.

책머리에


1부 고전소설과 예술의 상동성

조선의 아방가르드, 판소리와 풍속화 · 김현주

아름다움과 비천함의 사이-아브젝트와 예술 · 정인혁


2부 고전소설에 나타난 젠더 문제

판소리, 젠더, 그리고 남성성 · 서유석

여성영웅, 젠더 이탈자, 괴물 · 조현우


3부 다시 보는 고소설의 인물들

만귀비, 역사, 그리고 악녀의 탄생 · 김문희

홍길동, 슈퍼히어로, 그리고 괴물 · 이정원


김현주 金賢柱, Kim Hyun-joo

고전문학 전반을 주로 담화분석, 구술성, 퍼포먼스의 개념틀을 통해 연구했고, 문학과 회화의 상동관계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판소리 담화분석』, 『판소리와 풍속화 그 닮은 예술세계』, 『구술성과 한국서사전통』, 『연행으로서의 판소리』, 『춘향전의 인문학』 등의 저서가 있다.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정년퇴임했고, 현재는 같은 과의 명예교수로 있다.


정인혁 鄭仁爀, Jung In-hyouk

전계단형서사체, 소위 전계소설을 통해 우리 고전 속 다양한 인간 군상들과 그들의 삶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 교양과 학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유석 徐有奭, Seo You-seok

판소리, 설화와 같은 우리 옛이야기들을 공부하며, 이를 ‘몸’이라는 키워드 중심으로 다시 살펴볼 나름의 계획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저로 「판소리에서의 도덕적 규범과 윤리적 선택의 의미」, 「설화에서의 도적 혹은 의적 재현에 관하여」 등이 있다. 현재는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조현우 趙顯雨, Cho Hyun-woo

한국 고전소설을 악(惡), 운명, 젠더, 기억 등의 키워드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천정과 승부의 의미」, 「환관 이야기에 나타나는 젠더 이분법의 균열 양상과 그 의미」 등이 있다. 현재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김문희 金文姬, Kim Mun-hee

고전소설에 나타난 역사의 소설화 방식과 상상력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는 「송대 곽황후 폐위사건과 국문장편소설의 소설화 방향」, 「고전소설의 엄숭의 소설화 양상과 의미」 등이 있다. 현재 경기대학교 교양학부에 재직하고 있다.


이정원 李政沅, Lee Jeong-won 

전기소설, 판소리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는 「영웅소설의 괴물 문제」, 『전을 범하다』 등이 있다. 현재는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