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냉전의 시대, 유랑하는 타자들
한국영화에 나타난 타자성의 문화 정치
저자 한영현 역자/편자
발행일 2022.04.15
ISBN 9791159056864
쪽수 323
판형 152*223, 무선
가격 23,000원
서점 바로가기

한국영화 100년, 달라진 위상의 의미를 추적하다

한국영화는 현재 큰 명성을 누리며 전 세계 관람객들에게 열광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한국영화 100년의 역사가 축적한 저력의 성과일 뿐만 아니라 한국영화 콘텐츠의 무한한 잠재력을 새삼 일깨워 주는 획기적인 사건이라 할 만하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으로 증명된 이때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한국영화 안에 스며들어 있는 대중의 삶과 의미를 재고함으로써 무엇이 한국영화만의 특색을 형성해 왔는가를 꼼꼼하게 들여다보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 글은 한국영화사 연구의 차원에서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출발했다. 특히, 냉전 시대 영화에 재현된 타자들의 삶을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던 한국영화의 새로운 의미 및 그로부터 추론해 볼 수 있는 대중의 삶의 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냉전 시대 타자들에 접근하는 것은 한국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이다. 당대 영화는 이른바 ‘못 배운 고무신짝’ 관객부터 대학생 엘리트 관객까지 두루 흡수하면서 대중매체로서의 대표성을 오랜 기간 유지했다. 통치 권력이 반공주의와 근대화 논리로 사회 질서를 재편성하며 대중을 주체와 타자로 구별 지을 때 사회가 요청한 울타리 안에 편입되지 못한 대다수 대중과 가장 밀접하게 접속한 매체 또한 영화였기 때문이다.


사회 밖 소외된 이들을 감싸 안은 한국영화

사실 한국영화의 가장 큰 저력은 냉전 시대를 관통해 오는 동안 영화계가 겪어야 했던 통제와 억압 속에서도 배제되거나 소외된 영역의 대중을 감싸 안으면서 그들을 재현의 장으로 꾸준하게 호출해 온 데 있다. 시대별로 타자화되는 존재들의 양상은 변화했을지라도 한국영화는 근본적으로 대중의 가장 보편적인 구성체인 가족과 구성원들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는 공간을 탐색하며 배제된 약자와 가난한 자들의 삶을 영화적 세계로 구축해 내곤 했다. 물론, 때로 정권의 나팔수를 자처하는 계몽 영화를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한국영화사를 화려하게 수놓은 작품 세계 속에는 타자화된 대중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녹아들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냉전 시대 반공주의와 근대화 논리가 타자성과 맺는 관계 및 한국영화 속 타자들의 모습을 다각도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한국영화사 흐름을 따라가면서 각 시대를 구분한 뒤 영화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타자성의 의미를 추출해 내고자 했다. 특히 ‘가족’과 ‘공간’은 타자성의 의미를 추출하는 데 있어 주요하게 관심을 가진 분석 대상이었다. 반공의 논리와 경제 성장에 기반한 근대화 논리가 냉전 시대를 관통하는 통치 전략으로 위세를 떨치는 가운데 영화 속 가족과 구성원들의 일상적 공간은 시대가 요청한 바를 완벽하게 구현하는 듯하면서도 이면의 부작용들과 은폐된 부분을 재현하곤 했다. 요컨대 한국영화는 시각적 이미지의 복잡다기한 모호함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통치 권력의 칼날을 피하면서도 대중의 삶과 접속하는 길을 만들어 갔다.

이 글에서는 비록 냉전 시대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한국영화 속 타자들의 모습을 다루었지만 이들의 존재 양상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영화 100년 역사에서 60년 이상을 차지하는 냉전 시대는 불행하게도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다. 한국전쟁과 한민족의 적대 그리고 분단 시대 좌우의 첨예한 대립이 현재까지도 한국인의 삶을 곤혹스럽게 하는 근본적 요소로 작용하는 가운데 글로벌 자본주의의 위력은 점차 대중의 삶을 극한으로 내몰아 가는 중이다. 청산되지 못한 냉전과 분단의 역사적 문제를 떠안은 채 글로벌 신자유주의의 강력한 힘에 압살당하고 있는 현재 대중의 삶에 과연 어떻게 접속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도 그래 왔듯이 한국영화는 앞으로도 이러한 대중의 삶에 눈감지 않고 신랄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그것을 영화 속 세계로 녹여 내 타자화된 존재들을 어루만질 것이다. 또한 누군가 냉전 대한민국의 대중이 직면한 이 아픈 현실을 파헤치는 데 관심을 갖고 논의를 시작한다면 이 책이 작은 위로와 보탬이 될 것이다.

책을 내면서

들어가며


제1장 냉전과 한국영화의 관계에 대한 고찰

1. 냉전의 논리와 대중문화 지형의 성립

1) 냉전의 문화 논리와 대중문화

2) 대중문화가 소환한 타자의 형상들

3) 한국영화와 대중문화의 길항


2. 한국영화에 스며든 냉전의 논리와 타자성

1) 반공국가주의와 근대화 담론의 영화적 전유

2) 한국영화의 타자들, 개념과 범주

3) 한국영화 타자성의 정치, 냉전을 바라보는 대중문화의 시선


제2장 혼돈과 균열의 시대-1950년대 한국영화

1. 전후 재건 공간의 영화적 재현과 거리의 존재들

1) 1950년대 전후 재건 공간과 통치성

2) 타자화된 공간 재현과 계몽의 시선

3) 계몽의 타자, ‘도시’의 부유하는 존재들

4) 사회ㆍ국가 구성의 대중적 전유, 영화의 ‘경계’ 공간


제3장 순응과 갈등의 시대-1960년대 한국영화

1. 산업 근대화 가족의 탄생과 가난한 타자들의 출현

1) 근대화 담론으로 이완된 1960년대 반공국가주의

2) 근대화 신화를 체현한 가족의 탄생

3) 가난의 계층적 분화, 무능한 서민 가부장

4) 중산층 판타지의 불안과 균열, 매혹의 하위 주체들


2. 냉전과 근대화의 스펙터클한 유람  그리고 지워진 타자성의 표식들

1) 1960년대의 희망과 좌절에 대한 영화적 탐색

2) 근대화의 스펙터클을 횡단하는 팔도강산과 배제된 영역들

3) 신화화된 산업 역군, 배제당하는 노동의 이면

4) 발전 국가의 희망에 응답하는 못난 자들의 눈물

5) 이미지로서의 근대를 바라보는 영화의 시선, <팔도강산>


제4장 절망과 저항의 시대-1970년대 한국영화

1.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 1970년대 한국영화와 타자들의 풍경

1) 발전 국가의 그늘진 장소들 그리고 타자들

2) 해체된 가족 공동체와 소외된 개별 주체들

3) 발전 국가 외부의 탐색, ‘죽음’의 재현과 남겨진 질문

4) ‘강한 국가’는 어디에? 해체된 공동체와 죽음의 타자들


2. 발전 지상주의 시대 노동자의 불온한 이름, 세속의 성녀들

1) 70년대 한국영화의 육체ㆍ자본ㆍ주체성의 문제

2) ‘성노동자’ 혹은 ‘성녀’라는 이름의 그녀들

3) 성애적 노동의 극대화와 남성적 자기 구원의 신화

4) ‘성녀’와 ‘노동자’의 사이, 발전 주체의 분열과 전이

5) 세속의 성녀들, 절망과 저항의 70년대적 아이콘


제5장 비판과 모색의 시대-1980년대 한국영화

1. 가난한 자들에 대한 위로의 시선, 도시 난민의 영화적 재현

1) 1980년대 한국영화와 도시 난민

2) 근대화의 주변을 횡단하는 난민들

3) 개발 신화를 폭로하는 난민의 몸

4) 잊혀진 주변부적 존재들의 대중적 소환


2. 가해와 피해의 서사 구조와 가족을 둘러싼 타자성

1) 1980년대 개발 독재와 폭력

2) 소설의 영화적 변용과 특성

3) 가해와 피해의 가족 서사 구조

4) 화해와 용서 그리고 은폐되는 타자성

5) 개발 독재 시대와 가족의 존재 방식


3. 분단과 민족에 대한 영화적 탐색, 혼종된 정체성의 타자들

1) 역사와 영화, 연대의 가능/불가능성

2) 잃어버린 이름들의 역사-분단과 민족의 이름들

3) 분열된 여성성을 통해 본 분단과 민족에 대한 시대 인식

4) 1980년대 한국영화, 분단의 타자들에 접근하는 방식


나가며

참고문헌


한영현 韓暎顯, Han Young-hyeon

현재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원에서 현대소설을 전공하며 영화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국문학과 영화학 관련 학제 간 연구를 다방면에서 수행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김진수 선집』(2012), 공저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2012), 공저 『글로컬 시대의 한국 영화와 도시 공간 1(1980~1987)』(2018), 『글로컬 시대의 한국 영화와 도시 공간 2(1987~1997)』(2018) 등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