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판 보이 쩌우 자서전
저자 판 보이 쩌우 역자/편자 김용태,박영미,이한영,최빛나라,한영규,Phạm Thị Hường
발행일 2022.5.25
ISBN 9791159056956
쪽수 427
판형 신국판 양장
가격 33,000원
서점 바로가기

베트남 독립운동사의 주역, 판 보이 쩌우의 자서전 번역 출간

한국과 베트남은 역사적 경험에 있어 공통점이 많이 있다. 가까이로는 국토가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있었던 점도 같고, 외세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했던 아픔도 공유하고 있으며, 더 멀리는 동아시아 조공책봉 체제에서 ‘제후국’의 반열에 있었던 점도 같다. 그러니 근대 국가 성립의 정통성이 독립운동에 있다는 점도 당연히 같다. 베트남은 우리의 ‘역사적 거울’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역사상이 잘 보이지 않을 때 베트남을 보면 명확해지는 측면이 있다.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 백범 김구가 있다면, 베트남의 독립운동사에는 판 보이 쩌우가 있다. 우리에게 판 보이 쩌우가 낯설게 느껴지지만, 그의 한문 저술 『월남망국사』는 발간 즉시 동아시아 전역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여전히 우리 사회의 역사 시간에 언급되는 비교적 익숙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판 보이 쩌우의 한문 자서전이 이번에 우리말로 번역 출간되었다. 『백범일지』를 떠올리면 우리에게도 이 자서전의 위상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베트남을 넘어 한국, 동아시아사의 역사를 들여다보다

『판 보이 쩌우 자서전』은 『백범일지』와 마찬가지로 독립운동의 역사를 오롯이 담고 있다. 근왕(勤王) 운동에서 출발한 독립운동이 외교 투쟁으로 발전하고, 외교 투쟁에서의 좌절이 무력 투쟁으로 이어지고, 무력 투쟁에서의 좌절이 의열(義烈) 투쟁으로 이어졌던 피눈물 나는 베트남 독립운동의 역사는 그대로 우리의 독립운동사와 겹쳐진다. 베트남 독립운동 진영이 의열 투쟁으로 나서게 되었던 촉매가 바로 안중근 의사였음을 『판 보이 쩌우 자서전』은 생생히 증언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판 보이쩌우 자서전』은 우리의 역사를 다시 돌아보고, 나아가 동아시아를 사유하도록 하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판 보이 쩌우는 혁명가인 동시에 탁월한 작가였다. 그는 투쟁이 절망적 상황에 놓였을 때 매문(賣文)으로 동지들의 숙식을 해결하기도 하였던바 그의 작품집에는 수준 높은 시, 소설, 산문이 풍부하게 수집되어 있다. 『판 보이 쩌우 자서전』에도 그의 작가적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다. 과거 시험 준비를 하면서 오랫동안 수련한 한문 문장력이 독자를 사로잡는다. 『월남망국사』가 동아시아 한문 지식인들을 그토록 흥분시켰던 것은 그의 문장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책의 번역을 역사학자가 아닌 한문학 연구자들이 맡게 된 점도 흥미롭다. 20세기 초 동아시아의 외교무대나 지식인들의 소통에 있어 한문은 공용어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 근대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 동안 한문이 여전히 역사의 전면에서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던 사정이 작용하였기에 이 책이 한문학 연구자들의 눈에 먼저 포착될 수 있었다. 게다가 마침 베트남의 한놈연구원 소속 연구원이 한국 한문학을 공부하기 위해 한국에 유학을 왔다가 번역진에 합류하게 되었던 사정도 공교롭다. 이로 인해 쯔놈의 해석 등 어려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었다고 한다.

화보

해제


제1부 서장序章-나의 집안과 유년 시절

서문

나를 판결하다

나의 집안과 어린 시절

혁명의 뜻을 품다

호걸들과 결연하다


제2부 국내에서의 혁명 준비

혁명에 착수하다

호앙 호아 탐과 교섭하다

황족 기외후畿外侯 끄엉 데彊柢를 맹주盟主로 옹립하다

『유구혈루신서琉球血淚新書』를 통해 여러 지사志士들과 교분을 맺다

베트남 남부지역에서 혁명을 준비하다

띠에우 라 집에서 비밀회의를 열다

땅 밧 호

본격적인 출양 준비를 하다

동지들과 작별하다


제3부 외교활동의 전면에 나서다

은밀히 중국으로 가다

리 뚜에里慧와 인연을 맺다

홍콩에서의 외교 활동

일본으로 건너가다

량치차오를 만나다

일본 정계의 요인을 만나다-이누카이 쓰요시, 오쿠마 시게노부

첫 번째 귀국-인재를 물색하다

류용푸劉永福와 응우엔 투엇阮述을 만나다

요코하마에서의 고된 생활

인력거꾼의 도움으로 인청환을 만나다

쑨원을 만나다

끄엉 데가 출양하다

「유신회장정維新會章程」을 인쇄하다

떠이 호西湖, 판 쭈 찡潘周楨이 출양하다

요코하마의 혁명 기관 ‘병오헌丙午軒’

「해외혈서海外血書」·『속해외혈서續海外血書』를 인쇄하다

홍콩에서의 활동

두 번째 귀국

호앙 호아 탐과 밀약을 맺다


제4부 동유운동의 짧은 성공

다시 베트남을 떠나다

베트남 혁명당의 분열

기외후의 이름으로 모금 운동을 하다

『신월남新越南』을 짓다

땅 밧 호의 서거

운남雲南 잡지사의 편집직원이 되다

동유운동의 어려움이 가중되다 

일본 명사들의 원조를 이끌어 내다

월남공헌회를 조직하다

프랑스 정부의 탄압과 방해 공작

학생 해산령이 내려지다

해산 이후 일본 유학파의 독립 투쟁 (1)-박끼 출신

해산 이후 일본 유학파의 독립 투쟁 (2)-쭝끼 출신

동유운동의 조력자들 (1)-마이 라오 방

동유운동의 조력자들 (2)-응우엔 트엉 히엔


제5부 새로운 투쟁 노선의 모색

전세계 혁명의 필요성에 대해 눈뜨다

여러 외국인의 후원을 받다

동아동맹회의 조직과 해산

아사바 사키타로 선생과의 인연

쩐 동 퐁의 자살

일본에서 추방되어 태국으로 가다

무기 조달 거사의 실패

책을 팔며 지내던 시절

은인 저우周 사태師太

쯔엉 꾸옥 우이와 럼 득 머우의 활약

태국에서 농사를 지으며 때를 기다리다


제6부 동아시아 혁명 열기의 고조와 좌절

신해혁명 이후 새로운 활동 모색

월남광복회의 탄생

베트남 국기의 제정과 『월남광복군 방략』 편찬

군용표의 발행

진화흥아회의 성립과 월남광복회의 개편

의열 투쟁으로 방향 전환

부이 찡 로 군의 안타까운 죽음

하노이 식당 폭발 사건

『월남의열사』 집필

의열 투쟁의 실패로 광둥에 수감되다

수감 생활의 시작, 옥중에서 들은 흉보

오스트리아 정부의 자금 지원

석방 이후의 혼돈스러운 정서

중국 남부 여행의 시작

쓰촨에서 윈난까지의 여정

판 바 응옥의 배신

동아시아를 유력하며 활로를 모색하다

판 바 응옥이 암살당하다

『군사잡지』에서 일하다 

팜 홍 타이 열사의 의거

월남광복회를 개편하여 월남국민당을 조직하다

프랑스 앞잡이에게 체포되다


부록_베트남 인물 약전


옮긴이

김용태(金龍泰, Kim Yong Tai)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 동아시아한문학연구소 소장. BK21 동아시아 고전학 미래인재교육팀 팀장. 19세기 서울지역의 한문학 연구에서 출발하여 근대 동아시아 한문학으로 연구 분야가 확대되었다. 저서로 『19세기 조선한시사의 탐색』, 역서로 『(역주)해외견문록』 등이 있다.

박영미(朴暎美, Park, Yongmi)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연구조교수. 단국대학교 한문학 박사. 식민지 시기 한문학 및 근대기 동아시아 한문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일본 니쇼가쿠샤(二松学舎)대학에서 방문연구원을,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에서 외국인 연구원을 지냈으며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이한영(李瀚榮, Lee Han Young)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박사수료.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심대윤의 백운문초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연행록 정본화 및 DB구축 사업에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장자』의 수용 및 활용사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최빛나라(Choi Bitnara)

성균관대 한문학과 BK연구교수. 숙명여대를 졸업, 고려대에서 한·월 설화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제주대, 베트남 후에대에서 강의했다.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한영규(韓榮奎, Han, Younggyu)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19세기 여항 문학을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조희룡과 추사파 중인의 시대』, 논문으로 「19세기 한중 문인교류의 새로운 양상」 등이 있으며, 『매천야록』, 『이옥전집』 등을 함께 번역했다.

Phạm Thị Hường

베트남 사회과학한림원·한놈연구원 연구원(2011년~현재). 하노이국립대학교·인문사회과학대학 문학과를 한놈학 전공으로 졸업하였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주희 『가례』의 소개」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조선학자들의 논어학을 연구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