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정선육방옹시집 4
저자 육유 역자/편자 주기평 역
발행일 2023.06.25
ISBN 979-11-5905-807-3
쪽수 494
판형 152*223 양장
가격 42,000원
서점 바로가기

송대를 대표하는 남송 최고의 시인, 육유

이 책의 저자인 육유(陸游, 1125∼1209)는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으로, 자(字)는 무관(務觀)이고 호(號)는 방옹(放翁)이며 월주(越州) 산음(山陰,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소흥시(紹興市)) 사람이다. 이른바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의 한 사람으로서 남송의 시단을 대표한다. 평생 일만 수에 달하는 시와 우국의 열정으로 가득한 시편을 통해 중국 최다작가이자 대표적인 우국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그는 풍부한 문학적 소양과 방대한 지식, 부단하고 성실한 창작 태도 등을 바탕으로 시집 『검남시고(劍南詩稿)』 85권 외에 『위남문집(渭南文集)』 50권, 『남당서(南唐書)』 18권, 『노학암필기(老學庵筆記)』 10권, 『가세구문(家世舊聞)』 등 사와 산문, 역사 방면에서도 많은 저작들을 남기고 있다.


육유 시의 전모를 살펴볼 수 있는 시선집

이 책은 현전하는 육유 시선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편찬된 것으로, 남송(南宋) 나의(羅椅)가 편찬한 『간곡정선육방옹시집(澗谷精選陸放翁詩集)』 10권과 남송(南宋) 유진옹(劉辰翁)이 편찬한 『수계정선육방옹시집(須溪精選陸放翁詩集)』 8권 및 명(明) 유경인(劉景寅)이 편찬한 『육방옹시별집(陸放翁詩別集)』 1권의 합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수록된 작품 수는 총 687수이다.


육유의 시는 일찍부터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특히 조선의 문인들은 육유의 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여 조선 전기 세조 연간에 『간곡』과 『수계』를 합간한 『명공묘선육방옹시집(名公妙選陸放翁詩集)』이 간행되었으며, 조선 후기 정조 연간에는 두보의 율시와 육유의 율시를 모은 『두율분운(陸律分韻)』 등의 시선집이 간행된 바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중국 문학 전공자들의 송대 시 연구뿐 아니라 한국학 연구자에 있어 중국 시문학의 한국적 수용양상과 영향 등을 파악하는 데에도 좋은 자료가 되며, 일반 독자들에게는 중국 전통 시에 대한 지식과 감성을 쌓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육유의 시 전집은 명대까지도 아직 완정한 간본이 없이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가, 명대 모진(毛晉, 1599∼1659)의 급고각(汲古閣)에서 시 전집 『검남시고(劍南詩稿)』가 간행되어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정선육방옹시집』은 『검남시고』보다 백여 년 전에 간행된 것으로, 남송(南宋)의 나의(羅椅)와 유진옹(劉辰翁) 및 명(明) 유경인(劉景寅)이 편찬한 개별 선집을 하나로 엮어 각각 전집, 후집, 별집으로 구분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육유의 시 전집이 나오기 이전에 육유의 시를 보존하고 유통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비평가의 관점에서 적절한 평점과 평어를 병기함으로써 육유 시의 전모를 잘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시선집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선록된 시가의 구성면에 있어 육유 시의 서로 다른 풍격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선집이다. 『간곡』에는 육유의 시 중에서 청신하고 맑은 감성을 노래한 시가나 자연의 풍광을 노래한 산수 시 등이 수록된 반면, 『수계』에는 침략당한 나라를 애통해하는 비분강개한 감정과 강한 투쟁 정신을 표출하는 애국주의 정신을 담고 있는 시가들이 많다. 이러한 두 가지 풍격은 전종서(錢鍾書)가 『송시선주(宋詩選注)』에서 “육유의 작품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하나는 비분과 격앙에 찬 감정으로 나라를 위해 설욕하고 잃어버린 국토를 찾아 도탄에 빠진 백성들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한적하고 섬세한 느낌으로 일상생활 속의 깊은 재미를 음미하고 눈앞의 경물의 다양하게 굴곡진 모습을 세밀하게 그려내는 것이다.”라고 밝힌 바와 같이, 육유의 시 세계를 구성하는 커다란 두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TOP